예루살렘 (찬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루살렘은 1808년 윌리엄 블레이크가 쓴 시로, 잉글랜드의 이상적인 모습을 노래한다. 이 시는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를 방문했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하며, 당시의 부정적인 현실과 싸우려는 의지를 담고 있다. 산업혁명과 대영제국을 비판하는 내용과 함께, 여성 참정권 운동과 잉글랜드 국가로서의 상징성을 가진다. 에드워드 엘가의 편곡을 비롯하여 다양한 음악, 영화, 공연 등 대중문화에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노래 - 루마니아군이 카르파티아를 건넌다
"루마니아군이 카르파티아를 건넌다"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루마니아 군인들의 사기를 고취하고 애국심을 함양하기 위해 만들어진 군가로, 루마니아 민족주의와 연관되어 문학, 영화, 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재해석되며 루마니아 역사의 중요한 부분을 반영한다. - 영국의 노래 - 희망과 영광의 땅
《희망과 영광의 땅》은 에드워드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 제1번》 트리오 주제에 A. C. 벤슨의 가사를 붙인 곡으로, 영국의 대표적인 애국가 중 하나이며,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되고 잉글랜드의 국가로 제안되기도 하고, 스포츠 응원가나 졸업식 음악으로도 활용된다. - 영국의 노래 - How We Do (Party)
더 게임의 데뷔 앨범에 수록된 "How We Do (Party)"는 닥터 드레와 퀀시 존스가 프로듀싱하고 50 Cent가 피처링한 곡으로, 파티 문화와 힙합 라이프스타일을 묘사하며 긍정적인 평가와 차트 성공을 거두었으나 저작권 소송에 휘말리기도 했다.
예루살렘 (찬가) | |
---|---|
기본 정보 | |
![]() | |
제목 | 엘사레무 |
로마자 표기 | Elsaleum (엘사레움) |
다른 이름 | And did those feet in ancient time 고대 저 발이 |
언어 | 영어 |
적용 대상 | 애국 |
적용 공동체 | |
제작 정보 | |
작사가 | 윌리엄 블레이크 |
작사 시기 | 1804년에서 1811년 |
작곡가 | 찰스 휴버트 패리 |
작곡 시기 | 1916년 |
기타 | |
위키포털 링크 | 클래식 음악 |
2. 가사
이 가사는 1808년 윌리엄 블레이크(William Blake)가 쓴 시이다.[7] 시의 내용과 한국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원문 (영어) | 한국어 번역 |
---|---|
| |
블레이크는 시 밑에 민수기 11장 29절의 "여호와께서는 주의 모든 백성이 다 선지자가 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라는 성경 구절을 덧붙였다.[5]
2. 1. 원문 (영어)
And did those feet in ancient time,|아득한 옛날 저들의 발길은영어Walk upon Englands mountains green:|잉글랜드의 푸른 산 위를 거닐었는가영어
And was the holy Lamb of God,|거룩하신 하나님의 어린양이영어
On Englands pleasant pastures seen!|잉글랜드의 기쁨의 들판 위에 보였는가영어
And did the Countenance Divine,|그 성스러운 얼굴이영어
Shine forth upon our clouded hills?|정녕 우리의 구름 낀 언덕에 빛을 비추셨는가영어
And was Jerusalem builded here,|정말로 예루살렘이 이 땅 위에,영어
Among these dark Satanic Mills?|이 어두운 사탄의 방앗간들 사이에 세워졌단 말인가영어
Bring me my Bow of burning gold;|금빛으로 불타는 나의 활을 가져오너라영어
Bring me my Arrows of desire:|나의 염원을 지닌 화살을 가져오너라영어
Bring me my Spear: O clouds unfold!|나의 창을 가져오너라, 오 구름이 펼쳐지는구나영어
Bring me my Chariot of fire!|내 불의 전차를 가져오너라영어
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나는 싸움을 멈추지 않으리영어
Nor shall my Sword sleep in my hand:|나의 검도 내 손에서 멈추지 않게 하리라영어
Till we have built Jerusalem,|우리가 잉글랜드의 푸르고 즐거운 땅에영어
In Englands green & pleasant Land|예루살렘을 세울 때까지.영어[7]
2. 2. 한국어 번역
And did those feet in ancient time,영어Walk upon Englands mountains green:영어
And was the holy Lamb of God,영어
On Englands pleasant pastures seen!영어
아득한 옛날 저들의 발길은
잉글랜드의 푸른 산 위를 거닐었는가?
거룩하신 하나님의 어린양이
잉글랜드의 기쁨의 들판 위에 보였는가![5]
And did the Countenance Divine,영어
Shine forth upon our clouded hills?영어
And was Jerusalem builded here,영어
Among these dark Satanic Mills?영어
그 성스러운 얼굴이
정녕 우리의 구름 낀 언덕에 빛을 비추셨는가?
정말로 예루살렘이 이 땅 위에,
이 어두운 사탄의 방앗간들 사이에 세워졌단 말인가?[5]
Bring me my Bow of burning gold;영어
Bring me my Arrows of desire:영어
Bring me my Spear: O clouds unfold!영어
Bring me my Chariot of fire!영어
금빛으로 불타는 나의 활을 가져오너라
나의 염원을 지닌 화살을 가져오너라
나의 창을 가져오너라, 오 구름이 펼쳐지는구나!
내 불의 전차를 가져오너라![5]
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영어
Nor shall my Sword sleep in my hand:영어
Till we have built Jerusalem,영어
In Englands green & pleasant Land영어
나는 싸움을 멈추지 않으리,
나의 검도 내 손에서 멈추지 않게 하리라.
우리가 잉글랜드의 푸르고 즐거운 땅에
예루살렘을 세울 때까지.[5]
그리고 시 밑에 블레이크는 성경의 구절 하나를 써놓았다.
:"여호와께서는 주의 모든 백성이 다 선지자가 되게 하시기를 원하노라" (민수기 11장 29절)[5]
3. 내용 및 해석
이 시는 요한의 묵시록에서 영감을 받아 어린 예수가 아리마태아의 요셉과 함께 지금의 영국을 여행하며 글라스톤베리를 방문하는 외경의 이야기를 가정한다. 또한 존 밀턴의 <영국의 역사>에도 나오는, 아리마태아의 요셉이 혼자 예수의 사망 이후에 고대 영국으로 가 설교를 하러 여행을 한 것에서도 영감을 받았다.[1]
이 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어린 양"(the holy Lamb of God영어)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에 왔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러한 고대 전설 자체보다는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구름에 덮인 언덕"(our clouded hills영어),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영어))과 싸우려는 의지("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영어))에 강조점이 있다.[2]
블레이크는 『밀턴』의 서문에서 "육체의 전쟁"(Corporeal War영어)과 "정신적 투쟁"(Mental War영어)을 대비시키며, "군대, 법정, 대학"에 잠복하여 "정신적 투쟁을 좌절시키고, 가능하다면 영원히 육체의 전쟁을 질질 끌려고 하는" 자들을 고발하고,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라는 시구에 이러한 주장을 반영한다.[3]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영어)은 18세기 후반부터 산업혁명으로 영국에 등장한 공장을 가리킨다고 일반적으로 해석되지만, 블레이크에게는 공장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이라는 국가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하는 군대, 법정, 대학, 교회 등이 인간의 피와 땀을 짜내는 "어둠의 사탄의 공장"처럼 보였을 수 있다.[4]
3. 1. 성서적 배경
이 시는 요한의 묵시록에서 영감을 받아 어린 예수가 아리마태아의 요셉과 함께 지금의 영국을 여행하며 글라스톤베리를 방문하는 외경의 이야기를 가정한다.[1] 또한 존 밀턴의 <영국의 역사>에도 나오는, 아리마태아의 요셉이 혼자 예수의 사망 이후에 고대 영국으로 가 설교를 하러 여행을 한 것에서도 영감을 받았다.[1]3. 2. 산업 혁명 비판
이 노래는 산업 혁명에 반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가사 중 "어두운 사탄의 맷돌"(dark Satanic Mills영어)은 산업 혁명 시기 잉글랜드의 공장과 사회 문제를 상징한다. "정신적 싸움"(Mental Fight영어)은 단순한 정신적, 신앙적 싸움이 아니라, 앞 구절에 나오는 냉병기처럼 물리적 수단을 동원하는 반산업혁명 운동을 의미한다.이 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어린 양"(the holy Lamb of God영어)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에 왔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고대 전설 자체보다는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구름에 덮인 언덕"(our clouded hills영어), "어둠의 사탄의 공장")과 싸우려는 의지("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영어))에 강조점이 있다.[2]
『밀턴』의 서문에서 블레이크는 "육체의 전쟁"(Corporeal War영어)과 "정신적 투쟁"(Mental War영어)을 대비시킨다. 그는 "군대, 법정, 대학"에 잠복하여 "정신적 투쟁을 좌절시키고, 가능하다면 영원히 육체의 전쟁을 질질 끌려고 하는" 자들을 고발하며,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라는 시구에 이러한 주장을 반영한다.[3]
"어둠의 사탄의 공장"은 18세기 후반부터 산업혁명으로 영국에 등장한 공장을 가리킨다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제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Empire is no more영어) (『천국과 지옥의 결혼』및 『미국 한 예언』),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All Religions are One영어)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와 같은 예언적인 말을 남긴 블레이크에게는 공장뿐 아니라 대영제국이라는 국가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하는 군대, 법정, 대학, 교회 등이 인간의 피와 땀을 짜내는 "어둠의 사탄의 공장"처럼 보였을 수 있다.[4]
3. 3. 이상 사회 건설의 열망
이 노래는 산업 혁명에 반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가사 중 "어두운 사탄의 맷돌들"은 제분공장을 의미하며, "Mental Fight"는 정신적이거나 신앙적인 싸움뿐만 아니라, 앞 구절에서 나열된 냉병기들과 같이 물리적인 수단을 동원하는 반산업혁명 운동을 의미한다.이 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어린 양"(the holy Lamb of God영어)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에 왔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그러한 고대 전설 자체보다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구름에 덮인 언덕"(our clouded hills영어),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영어))과 싸우려는 의지("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영어))에 이 시의 강조점이 있다.
블레이크는 『밀턴』의 서문에서 "육체의 전쟁"(Corporeal War영어)과 "정신적 투쟁"(Mental War영어)을 대비시킨다. 그리고 "군대, 법정, 대학"에 잠복하여 "정신적 투쟁을 좌절시키고, 가능하다면 영원히 육체의 전쟁을 질질 끌려고 하는" 자들을 고발하며, 그 주장을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라는 시의 표현에 반영하고 있다.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영어)은 18세기 후반부터 산업혁명으로 영국에 등장하기 시작한 공장들을 가리킨다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제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Empire is no more영어) (『천국과 지옥의 결혼』및 『미국 한 예언』),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All Religions are One영어)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와 같은 예언적인 말을 남긴 블레이크에게는 공장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이라는 국가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하는 다양한 기관(군대, 법정, 대학, 교회 등)이 인간의 피와 땀을 짜내는 "어둠의 사탄의 공장"과 같은 것으로 보였을지도 모른다.
4. 역사적 영향
이 노래는 산업 혁명에 반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가사 중 "어두운 사탄의 맷돌들"은 제분공장을 의미하며, "Mental Fight"는 정신적이거나 신앙적인 싸움뿐만 아니라, 앞 구절에서 나열된 냉병기들과 같이 물리적인 수단을 동원하는 반산업혁명 운동을 의미한다.[1]
4. 1. 여성 참정권 운동
이 노래는 1920년대 여성의 참정권 부여를 목적으로 한 영국의 단체인 여성의 참정권을 위한 전국 연합(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의 대표 가곡으로 사용되었다.[1]4. 2. 잉글랜드 국가로서의 위상
이 노래는 1920년대 여성 참정권 부여를 목적으로 한 영국의 단체인 여성의 참정권을 위한 전국 연합(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의 대표 가곡으로 사용되었다.[1]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하는 잉글랜드 선수단은 2010년 대회부터 이 노래를 잉글랜드를 대표하는 노래로 사용하고 있다.[1]4. 3. 진보 진영의 노래
이 노래는 산업 혁명에 반대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가사 중 "어두운 사탄의 맷돌들"은 제분공장을 의미하며, "Mental Fight"는 정신적이거나 신앙적인 싸움뿐만 아니라, 앞 구절에서 나열된 냉병기들과 같이 물리적인 수단을 동원하는 반산업혁명 운동을 의미한다.1920년대에는 여성 참정권을 위한 영국의 단체인 여성의 참정권을 위한 전국 연합(National Union of Women's Suffrage Societies)의 대표 가곡으로 사용되었다. 코먼웰스 게임에 참가하는 잉글랜드 선수단은 2010년 대회부터 잉글랜드를 대표하는 노래로 사용하고 있다.
5. 대중문화 속 예루살렘
이 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어린 양"(the holy Lamb of God|더 홀리 램 오브 갓영어)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에 왔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이 시는 그러한 고대 전설 자체보다 "구름에 덮인 언덕"(our clouded hills|아워 클라우디드 힐스영어),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다크 사타닉 밀스영어)과 같은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과 싸우려는 의지, 즉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아이 윌 낫 시즈 프롬 멘탈 파이트영어)는 점에 강조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블레이크는 『밀턴』 서문에서 "육체의 전쟁"(Corporeal War|코포리얼 워영어)과 "정신적 투쟁"(Mental War|멘탈 워영어)을 대비시키며, "군대, 법정, 대학"에 잠복하여 "정신적 투쟁을 좌절시키고, 가능하다면 영원히 육체의 전쟁을 질질 끌려고 하는" 자들을 고발한다. 그리고 그 주장을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라는 시구에 반영한다.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다크 사타닉 밀스영어)은 일반적으로 18세기 후반부터 산업혁명으로 영국에 등장하기 시작한 공장들을 가리킨다고 해석된다. 그러나 "제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Empire is no more|엠파이어 이즈 노 모어영어) (『천국과 지옥의 결혼』및 『미국 한 예언』),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All Religions are One|올 릴리전스 아 원영어)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와 같은 예언적인 말을 남긴 블레이크에게는 공장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이라는 국가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하는 다양한 기관(군대, 법정, 대학, 교회 등)이 인간의 피와 땀을 포도즙처럼 짜내는 "어둠의 사탄의 공장"과 같은 것으로 보였을지도 모른다.
5. 1. 음악
- 에드워드 엘가는 오르간 반주 원곡을 관현악 반주로 편곡하였다. BBC 프롬스에서는 이 버전이 연주되고 있다.[1]
- Emerson, Lake & Palmer는 앨범 『뇌를 훔친 자들』의 첫 번째 곡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으로 편곡된 이 곡을 수록하였다.[1]
- 반젤리스는 영화 『불의 전차』의 사운드트랙에서 신시사이저와 합창을 기본으로 한 편곡을 하였다(이 영화의 원제 "Chariots of Fire"는 시 속에 있는 "Chariot of fire"에서 유래한다). 동명 사운드트랙 앨범의 여섯 번째 곡(LP에서는 A면의 마지막)에 수록되어 있다.[1]
- 릭 웨이크먼은 솔로 앨범에 피아노 솔로로 수록하였다.[1]
- 2012년 런던 올림픽 개막식에서는 『스코틀랜드의 꽃』, 『대니 보이』, 『Cwm Rhondda|천국의 빵영어』을 사이에 두고 소년의 솔로로 노래되었다.[1]
- 마크 스튜어트 앤 마피아는 앨범 『겁쟁이와 20배 즐기는 방법 "Learning to Cope with Cowardice"』에 레게/덥 기법을 사용하여 커버된 이 곡을 수록하였다.[1]
- 더 잼스(더 KLF)는 싱글 「It's Grim Up North」의 타이틀곡 마지막에 이 곡을 샘플링하여 사용했다.[1]
5. 2. 영화 및 기타
이 시는 "하나님의 거룩한 어린 양"(the holy Lamb of God|더 홀리 램 오브 갓영어) 예수 그리스도가 고대 잉글랜드에 왔다는 전설을 바탕으로 한다. 그러나 이 시는 그러한 고대 전설 자체보다 어둡고 부정적인 현실("구름에 덮인 언덕"(our clouded hills|아워 클라우디드 힐스영어),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다크 사타닉 밀스영어))과 싸우려는 의지("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I will not cease from Mental Fight|아이 윌 낫 시즈 프롬 멘탈 파이트영어))에 강조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블레이크는 『밀턴』 서문에서 "육체의 전쟁"(Corporeal War|코포리얼 워영어)과 "정신적 투쟁"(Mental War|멘탈 워영어)을 대비시키며, "군대, 법정, 대학"에 잠복하여 "정신적 투쟁을 좌절시키고, 가능하다면 영원히 육체의 전쟁을 질질 끌려고 하는" 자들을 고발한다. 그리고 그 주장을 "나는 정신적 투쟁에서 한 발짝도 물러설 생각이 없다."라는 시구에 반영한다.
"어둠의 사탄의 공장"(dark Satanic Mills|다크 사타닉 밀스영어)은 18세기 후반부터 산업혁명으로 영국에 등장하기 시작한 공장들을 가리킨다고 일반적으로 해석된다. 그러나 "제국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Empire is no more|엠파이어 이즈 노 모어영어) (『천국과 지옥의 결혼』및 『미국 한 예언』),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All Religions are One|올 릴리전스 아 원영어) (『모든 종교는 하나이다』)와 같은 예언적인 말을 남긴 블레이크에게는 공장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이라는 국가 시스템과 그것을 지탱하는 다양한 기관(군대, 법정, 대학, 교회 등)이 인간의 피와 땀을 포도즙처럼 짜내는 "어둠의 사탄의 공장"과 같은 것으로 보였을지도 모른다.
참조
[1]
웹사이트
Why was Jerusalem chosen as the WI’s anthem?
https://www.thewi.or[...]
[2]
웹사이트
‘Jerusalem’ and the Women’s Institute
https://janerobinson[...]
[3]
음반
Rule Britannia and other music from Last Night of the Proms
NAXOS
[4]
서적
Voices from Britain
放送大学教育振興会
1999
[5]
논문
ブレイクの名詩再読
https://kguopac.kant[...]
関東学院大学人文学会紀要
2017
[6]
서적
구글도서-지금 실천하는 인문학: 꽉 막힌 세상, 문사철에서 길을 찾다
https://books.google[...]
2018-01-07
[7]
웹인용
The William Blake Archive
http://www.blakearch[...]
2010-03-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